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java 자료형
- 자바 정규식
- longwritable
- 자바 총점
- Logger
- 자바 평균
- mybatis sql
- 자료형
- Mapper
- java logger
- hadoop
- mybatis query
- JUnit5
- reducer
- 자바 자료형
- mybatis
- html2canvas
- mybatis parameter
- java
- assertThrows
- 자바
- Today
- Total
목록잡다한것들 (12)
운동하고개발하고
1. **블록체인이 무엇인가요?** - 블록체인은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분산 데이터베이스로, 데이터를 체인 형태의 블록에 안전하게 기록하여 중앙 관리자 없이 신뢰성을 확보합니다. 2. **분산원장(Decentralized Ledger)이 무엇인가요?** - 분산원장은 중앙 권위자 없이 네트워크의 여러 노드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고 동의하여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입니다. 3. **블록체인의 주요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?** - 블록체인의 주요 구성 요소는 블록, 거래, 합의 알고리즘, 암호화 기술 등이 있습니다. 4. **합의 알고리즘이 무엇이며, 왜 필요한가요?** - 합의 알고리즘은 분산 시스템에서 노드들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동의하는 알고리즘입니다. 필요한 이유는 네트워크의 일관성..
시간복잡도/공간복잡도 java7 / java 11 SOLID SSL GC Filter , Inteceptor, AOP 프로세스 / 스레드 디자인패턴 트랜잭션격리수준 스택 큐 스프링배치 레디스 ERC20 vs ERC721
class Solution { public String solution(String s, int n) { String answer = ""; String small = "abcdefghijklmnopqrstuvwxyz"; String big = "ABCDEFGHIJKLMNOPQRSTUVWXYZ"; if(n >= 1 && n bigLength -1){ int ss = bigIndex + n; aa = "" + big.charAt(ss - (bigLength )); }else{ aa = "" + big.charAt(bigIndex + n); } answer += aa; }else { answer += " "; } } } return answer; } } 아스키 코드를 활용해보자.. ㅎㅎ
"QBFT"는 "Quorum Byzantine Fault Tolerance"의 약어로, 블록체인 기술에서 사용되는 분산 합의 알고리즘입니다. 이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노드들 간에 합의를 도출하고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사용됩니다. "Byzantine Fault Tolerance"는 네트워크 내에서 일부 노드가 악의적인 행동을 할 수 있거나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합의를 달성하기 위한 개념입니다. QBFT는 특히 Quorum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합의 알고리즘으로, 이더리움(Ethereum) 기반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및 기업용 플랫폼입니다. Quorum은 JP 모건과 기타 파트너들이 개발한 프로젝트로, 개인 정보와 기밀 거래를 지원하는 특징을 가..
https://jacobin.org/ Welcome to Jacobin JVM A more than minimal JVM written in Go and capable of running Java 17 classes. jacobin.org Jacobin 은 Go 로 작성되고 java 17 클래스를 실행할 수 있는 JVM 입니다. 종속성 없이 완전히 Go 로 작성되었습니다.
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노드들 간에 정보를 분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고 분산 환경에서 일관성과 동기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. 몇 가지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 1. 가십 프로토콜(Gossip Protocol) : 가십 프로토콜은 노드들 사이에서 정보를 전파하고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 2. 중앙 집중식 서버 : 데이터를 하나의 중앙 서버에 집중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. 클라이언트들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업로드합니다. 하지만 중앙 서버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생기면 네트워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3. 분산 데이터베이스 :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입니다. 분산 데이..
"가십 프로토콜(Gossip Protocol)"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노드들 간에 정보를 분산하는 방식 중 하나를 말합니다. 이 프로토콜은 특히 피어 투 피어(peer-to-peer)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, 노드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균등하게 분산하고 동기화하는 데 사용됩니다. 가십 프로토콜의 작동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: 1. 정보 전파 : 각 노드는 가까운 이웃 노드에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전파합니다. 이 정보는 새로운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된 정보일 수 있습니다. 2. 선택적 전달 : 가십 프로토콜은 모든 노드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, 일부 이웃 노드에게만 정보를 전달합니다.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분산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. 3. 확산 및 복제 : 노드들이..
"RPC over HTTP"는 원격 프로시저 호출(RPC, Remote Procedure Call)을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수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. RPC는 네트워크 상에서 두 컴퓨터 간의 프로시저(함수 또는 메서드) 호출을 통해 데이터와 서비스를 교환하는 프로그래밍 개념입니다. 이를 통해 원격 시스템에 있는 함수를 로컬 함수처럼 호출할 수 있습니다. HTTP는 월드 와이드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주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,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합니다. RPC over HTTP는 이 둘을 결합하여, 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통해 원격 서버의 함수를 호출하고, 서버는 해당 요청에 대한 결과를 HTTP 응답으로 반환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 이를 통해 원격에서 로컬 함수..

메일목록을 확인하던 중 국민비서 앱에서 메일을 보낸줄 알고 저도모르게 메일을 눌렀습니다.. 어 나 2차 맞았는데..? 하고 저도 모르게 확인하기를 눌렀습니다.. 다행하게 웨일브라우저에서 이미 차단을 해줬습니다. 확인을 해보니, 피싱사이트였습니다. https://naverlnid.000webhostapp.com 피싱사이트니깐 꼭 조심하세요.
LongWritable : A WritableComparable for longs.